[10] 퀀트투자 - 변수를 최적화 하는 법 / 최대 보유 일수
변수 최적화 하기
2. 최대 보유 일수
이전 글에서는 종목별 자산 분배 비중을 가지고 퀀트 로직을 최적화하는 것을 다루었다.
[9] 퀀트투자 - 변수를 최적화 하는 방법 / 분산투자
변수 최적화 하기 1. 분산투자 (종목별 비중) 퀀트 로직을 최적화 하는 여러 방식이 있다. 필자는 매수와 매도 로직 모두 중요하지만, 처음 변수를 판단할 때는 매수 로직을 우선적으로 최적화 하
anapharm.co.kr
매도 로직을 설정하지 않았다면, 최대 보유일수에 따라 CAGR과 MDD가 일반적으로 크게 변동한다. 로직에 비해 평균 보유 일수가 짧으면 충분한 수익을 내지 못해 MDD를 안정적으로 지켜 내더라도 CAGR이 더 낮아 유효한 손익비를 가진 전략을 운용하기 힘들다.
또 최대보유일수가 너무 길다면 충분한 수익을 냈음에도 다시 하락하여 횡보하는 결과를 얻거나, 너무 큰 (기간) 변동성으로 인해 높은 MDD를 나타낼 수 있다.
평균 보유일수에 대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.
[6] 평균 보유 일수에 관해서
평균 보유 일수 퀀트전략을 수립하면서 대표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변수 중의 하나는 바로 평균 보유일이다. (혹은 최대 보유일) 어떠한 종목이든지 개별종목의 보유일이 길어질수록 수익률의
anapharm.co.kr
아래는 앞서 다루었던 동일 로직에 대해 최대 보유일 수를 2일~20일까지 변화를 주었다. 1개월마다 리밸런싱 하는 자산배분 전략이 포함되어있길래 평균 보유일 수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아 보임에도 예상되는 CAG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.
'일상 이야기 > Daily Qua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2] 퀀트 조건식을 수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 (0) | 2022.11.14 |
---|---|
[11] 퀀트투자 - 논리적으로 최적화하기 (0) | 2022.11.03 |
[9] 퀀트투자 - 변수를 최적화 하는 방법 / 분산투자 (0) | 2022.11.02 |
[8] 지표의 선행성 - 주식투자 매매로직 설정을 위해 고민해야 할 것 (0) | 2022.10.12 |
[7] 하락장을 대처하는 법 (0) | 2022.10.11 |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[12] 퀀트 조건식을 수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
[12] 퀀트 조건식을 수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
2022.11.14 -
[11] 퀀트투자 - 논리적으로 최적화하기
[11] 퀀트투자 - 논리적으로 최적화하기
2022.11.03 -
[9] 퀀트투자 - 변수를 최적화 하는 방법 / 분산투자
[9] 퀀트투자 - 변수를 최적화 하는 방법 / 분산투자
2022.11.02 -
[8] 지표의 선행성 - 주식투자 매매로직 설정을 위해 고민해야 할 것
[8] 지표의 선행성 - 주식투자 매매로직 설정을 위해 고민해야 할 것
2022.10.12